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현대심리치료]정신역동 심리치료

by sallyheim 2024. 2. 14.

현대의 정신역동 심리치료 이론들은 프로이트와 고전적 정신분석학의 영향을 받았으면서도 그것을 넘어서는 탄탄한 발전을 해 온 사상 학파를 가리킵니다. 프로이트는 대인관계적인 환경을 병리의 원인으로 보았는데 자아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마음의 내적 작용 발달에서 환경과 관계성의 역할을 인정하기 시작했습니다. 신프로이트 학파 또는 후기프로이트 학파라 불리는 이론가들은 고전적 정신분석학과 견해를 같이 하지만, 핵심적 차이점은 덜 생물학적, 덜 기계적이라는 과정을 설명하는 방식에 있습니다. 원본능과 욕등을 강조한 프로이트의 사상과 달리 자아와 자기와 관계성을 강조한 현대의 정신역동 심리치료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엄마와 아기사진

 

현대의 정신역동 심리치료 

현대의 정신역동 사상은 세 분야로 나뉘는데 자아 심리학, 대상관계 이론, 자기 심리학입니다. 우선 자아 심리학은 '미국 학파'로 불리기도 합니다. 자아 심리학은 성격 발달을 강조하는데, 일부 갈등들은 즉각적인 충족을 지향하는 원본능 충동을 반영합니다. 하지만 적응성, 능력, 통제력을 지향하는 자아가 최소한 원본능과 똑같이 중요하다고 주장합니다. 자아 심리학은 자아와 관계성을 좀 더 강조하며 성과 공격성에 의한 긴장의 요소보다는 정체성 이슈와 친밀감 및 통합성의 주제를 강조합니다. 자아 심리학 이론가에는 에릭 에릭슨, 애나 프로이트, 하인츠 하트만, 루돌프 로벤슈타인, 그리고 데이빗 라파포트가 있습니다. 

대상관계이론은 자아 심리학과 비슷하게 자아의 초점이 외부로 향한다고 봅니다. '영국 학파'라고도 불리는 대상관계 이론가들은 프로이트의 본능을 가정하는 것과 주요 개념들을 중요하게 여기지 않습니다. 오히려 생후 몇 년의 시기 동안에 성격의 기초가 놓인다고 믿기 때문에 초기 관계 경험이 평생에 걸쳐 개인에게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합니다. 가장 중요한 성격의 결정 요인으로는 과거의 일차적 관계를 맺은 인물들(특히 부모님)과의 대상관계 경험이 내면화된 이미지들, 즉 '내부 대상'이 있습니다. 결국 성격은 일차적 관계로 내면화된 '대상들' 사이에서 일어나는 관계와 이 대상들의 특징들로 이루어진다고 봅니다. 이 내부 이미지 또는 내부 대상들이 원본능, 자아, 초자아를 대체하는 일차적 정신 구조입니다. 심리적 욕동은 원본능에서 일어나지 않고, 욕동 그 자체가 성적 혹은 공격적인 것이 아니라 대상들의 상호 관계가 심리적 욕동을 일으킨다고 봅니다. 대상관계 이론가로는 페어베인과 오토 컨버그가 있습니다. 

하인츠 코헛과 그의 추종자들에게 의해 체계를 갖춘 자기 심리학은 개별화 및 통합 과정 후에 생기는 정체성의 발달이 생의 초기 경험에 의한 것이라고 주장합니다. 초기의 관계들이 건강하고 양육적인 것이었다면 성숙한 관계를 맺는 안정된 자기 또는 '참자기'가 발달하지만, 초기 환경이 박탈적일 때는 '거짓 자기'로 인해 관계 능력 면에서 계속 제한을 받게 됩니다. 대상관계 이론은 내면화된 대상들과의 심리적 관계에 초점을 맞추는데 반에, 자기 심리학은 한 걸을 더 나아가 모든 심리 내면적 속성들을 합한 것과 규명되지 않은 통합 기능을 합한 것의 자기라는 강한 실재를 설정합니다. 응집력 있고 높은 차원의 이 실재는 프로이트의 원래 사상과는 확연한 차이가 있습니다. 

 

성격모델

대상관계 이론에서는 과거의 내면화된 기억과 일어났던 사건의 이미지 및 관계가 현재에 영향을 끼치고 있다고 봅니다. 대인관계에 의해 상당한 영향을 받는 심리 내면적 구조에는 대상 표상과 내사가 있습니다. 우리가 어떤 사람과 대화를 할 때 그 실제 인물과 관계하고 있을 뿐 아니라 그 사람이 어떤 인물인지 우리가 가진 내부 표상 또는 내부 개념과 관계하고 있는 것입니다. 우리의 인식은 사건과 사람들에 대한 과거의 이미지로 착색되어 있습니다. 우리가 과거에 만났던 사람들의 이미지의 일부를 타인에게 전이합니다. 우리는 타인뿐만 아니라 자신에게도 내적 표상을 가지고 있습니다. 아기는 성장 환경에서 중요한 사람들과 최초의 상호 작용을 통해 자신이 누구인지의 개념을 형성합니다. 흔히 엄마의 표현은 아기에게 거울 역할을 하며 엄마의 눈에 투영된 이미지들이 최초의 자기 인식을 형성하는 것입니다. 적절한 양육과 보호는 전체적으로 통합된 자기감을 발달시킵니다. 그러나 필요가 적절하게 충족되지 않는 환경에서는 불완전하거나 왜곡된 자기감이 형성됩니다. 말러와 그녀의 동료들은 아기의 자기 개념이 세 단계의 과정으로 발달한다고 주장하였습니다. 출생부터 약 2개월까지의 정상적인 아기는 '절대적인 일차적 나르시시즘'으로 불리는 '자폐 단계'를 경험합니다. 이 시기의 아기는 유쾌, 불쾌의 경험으로 단순하게 신체적 감각만 인식함으로 자기와 외부 세계를 구분할 수 없으며 어떤 정체감도 없다고 합니다. 약 2개월에서 6개월까지는 '공생 단계'로 일차적 돌봄을 제공하는 대상과 일체감 또는 공생감을 형성합니다. 자신의 필요를 만족시켜 주는 기능으로써 엄마를 인식하고 엄마를 '대상'으로 인식하게 됩니다. 6개월에서 2년까지의 기간 동안에 아기는 '분리 및 개별화 단계'로 성장합니다. 이 시기의 아기는 자신의 몸의 감각보다 외부에 관심을 두기 시작하는데 주변 세계를 탐색함으로써 자신이 외부 세계와 분리되었으며 다르다는 것을 느끼는 능력이 증가합니다. 이때 아기는 독립감과 경이감을 경험하면서 동시에 항상 함께해 주던 엄마의 상실로 인한 두려움 사이에서 갈등하는 양가성을 가집니다. 이 느낌에서 엄마에 대한 좋은 엄마와 나쁜 엄마일 수 있는 경험을 하게 됩니다. 아이 역시 자신이 착한 면도 있지만 나쁜 면이 있는 존재임을 깨닫게 됩니다. 이 시기에 안정적이며 현실적이며 격려해 주는 부모 표상과 자기 표상을 내면화한다면 아이는 자신이 사랑받고 있으며 사랑받을 만한 존재라고 느끼게 됩니다. 그리고 독립심과 상호 의존성을 유지할 수 있는 능력을 갖게 됩니다. 그러나 성장기 때 부모로부터 제대로 양육과 돌봄을 받지 못하게 된다면 실재와 왜곡된 내부 대상을 구별할 능력을 갖지 못하게 됩니다. 이런 사람은 실재의 대인 관계 경험보다는 '내부 이슈'와 작용하면서 반응하게 됩니다.  

 

건강모델

아기는 성장하면서 타인으로부터 분리하며 개별화하는 학습 과정을 거치며 다른 사람과 건강하게 관계하며 상호 의존적으로 관계하는 것을 학습하게 됩니다. 이런 관계는 필요와 욕구를 만족시키는 데 다른 사람들이 유용해서가 아니라 그들이 소중하다는 것을 알기 때문에 이루어지는 관계입니다. 이런 의미에서 성숙이란 '인간으로서 인격적 관계에서 잠재력을 풍부하게 실현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관계적 모델에 따르면 성숙한 성인이란 실재에서 약간 벗어나는 정도로 일관성 있게 자기와 타인을 볼 수 있는 사람입니다. 성숙한 사람은 세상과 타인들을 정확하게 인식하기 때문에 심리적 방어를 과하게 사용하지 않습니다. 방어기제들은 세상에서 처음 경험했던 실재적인 위험, 즉 유년 시절에 경험했던 사건과 사람들에 의해 우발적 또는 의도적으로 가해진 아픔에 대항하는 것입니다. 그러나 이후에 현실에서 그러한 위험이 없을 때에도 세상이나 세상에 있는 타인들에게 계속적으로 투사하게 됩니다. 성숙한 사람들은 타인을 신뢰하지만 가끔씩 잠재적인 아픔에 대하여 자신을 보호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인식합니다.